본문 바로가기

부동산2

공시가격 현실화 계획 유예와 표준지공시지가 공시가격현실화율(시세대비 공시가격 비율)은 보유세,건강보험료 등 다양한 세금 부과의 지표로 사용된다. -> 비율이 높을수록 세금 부담이 크다. 현재 하락 분위기에 공시가격현실화율이 90%에서 80%로 하락하게 되면 유주택자들의 세금 부담이 줄어들게 된다. 공시가격이 실거래가를 뛰어넘는 역전 현상이 나타나고 있어 인상속도를 조절한 것이다. 표준주택공시가격 : 짒값!! -> 일반적으로 시세의 80~90%로 정해지고 있다. 표준지공시지가 : 땅값!! 거래가 감소하고 집값은 떨어지는데 땅값이 오르게 된다면 집값 상승에 영향을 줄 수 있을까?? 2022. 11. 6.
부동산 초보가 제일 먼저 배우는 것 - 관련 용어, 통계표 찾아보기, 현재 부동산 흐름 1. 관심있는 지역의 1000세대 이상 아파트 찾아보기 2. 접속하기 —> 공급물량, 가격 변화 공부하기 —> 주간주택가격동향, 월간주택가격동향 보고서 확인하기 1) 매매시장동향 -> 100 이상 —> 매수자 많음 ( 시장 분위기 좋음) -> 100 이하 —> 매도자 많음 2) 매매거래동향 -> 100 이상 —> 활발 -> 100 이하 —> 수치가 증가 추세인지 감소 추세인지 파악하기 3) 매매가격전망지수 -> 100 이상 —> 상승전망 4) 평균가매매가격 5) 중위매매가격 6) 5분위 배율 -> 증가 —> 고가주택 가격 상승일수도 —> 양극화 심함 7) 전세가율(매매가격대비 전세가격비) -> 상승의 경우(갭투자.. 2022. 11. 6.